본문 바로가기
STORAGE

COVID-19와 임상시험

2022. 5. 2. 09:23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처음 확인된 SARS-CoV-2의 감염증인 COVID-19는 2019년 12월 전 세계 최초로 발생하였으며, 2020년 1월 19일 중국 우한시에서 국내에 입국한 중국 국적의 35세 여성(중국 우한시 거주)이 국내 최초로 확진되었습니다. 이후 세계보건기구는 2020년 1월에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언하였고, 3월에는 팬데믹 즉 세계적 범유행으로 격상시켰습니다. 이후 2년여간 전 세계는 COVID-19와의 치열한 싸움을 지속하였고 현재도 그 싸움은 끝나지 않고 진행형입니다.

 

최초 팬데믹 이후 감염병 전문가들은 팬데믹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무기로 백신을 꼽았으며, 이러한 백신을 개발하기 위한 많은 노력과 비용을 치르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2020년 12월 18일,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미국 제약사 모더나가 개발한 COVID-19 백신의 긴급 사용승인을 했습니다. 모더나는 미국 정부의 전폭적 지원(연방정부 자금 25억 달러)으로 미국 국립보건원(NIH)과 함께 mRNA 기반의 백신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COVID-19 발생 초기 많은 전문가가 예상했던 시간보다 훨씬 이른 시간 내에 개발한 것으로 이후 개발된 화이자 백신과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마도 많은 분이 COVID-19 백신 개발 과정의 뉴스를 접하면서 "임상 제2상을 통과했다" 혹은 "임상 제3상에 돌입했다" 등의 뉴스를 많이 들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럼 과연 임상시험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진행되는 것인지 또 임상 1상, 임상 제2상, 임상 제3상 임상 제4상 등의 차이는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상시험

임상시험(臨床試驗, 영어: clinical trial) 또는 임상 연구는 사람을 직접 대상으로, 사람에게서 추출(또는 적출)된 검체나 사람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모든 시험 또는 연구이자 개발 중인 신약의 사용 허가 전에 그 약의 효과와 안전성을 증명하는 과정입니다. 참가자에 대한 이러한 전향적 생의학이나 행동 치료는 새로운 치료법 (신규 백신, 약물, 식이 선택, 식이 보충제 및 의료 기기 등) 및 추가 연구와 비교가 필요한 이미 알려진 치료를 포함하여, 생의학 또는 행동 치료에 관한 특정 질문에 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임상시험 단계는 전임상, 1상, 2상, 3상, 4상 시험으로 구분되며, 과거 임상실험이라는 용어와 혼용되었던 적이 있으나, 현재는 임상시험으로 통일하여 사용하며 임상실험이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임상시험의 절차 

임상시험 승인절차
임상시험승인절차 - 식품의약품안전처

 

  • 임상시험 의뢰자는 임상시험 계획서를 작성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실시기관 내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에 승인신청을 합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실시기관 내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에서는 임상시험 계획서를 세밀히 검토 후 승인 여부를 결정합니다.
  • 임상시험 의뢰자는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험책임자에게 임상시험 실시를 요청합니다.
  • 시험책임자는 피험자에게 임상시험에 대해 충분히 설명한 후 동의서를 받으며, 임상시험 계획서에 따라 과학적이고 윤리적인 임상시험을 진행합니다.
  • 임상시험과 관련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임상시험 실시기관, 임상시험 의뢰자, 시험책임자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신약후보물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여 신약 허가 여부를 결정하고, 신약 허가를 받은 후 판매할 수 있습니다.

 

임상시험 단계

전임상 단계

임상시험을 실제로 시작하기 전에 가장 먼저 시작하는 단계로 연구실 내 안전성 시험 및 동물 실험, 선행 논문 조사 등이 이 단계에 포함됩니다. 한국의 경우, 전임상 단계를 거쳐 임상시험계획서 (Investigational New Drug, IND)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하여 임상시험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임상 제1상

본격적인 임상시험의 단계로 소수의 건강한 참여자 (20~80명 내외)를 대상으로 독성, 부작용 등의 중요한 반응만을 관찰합니다. 제1상의 한 가지 목적은 최대 허용량 (Maximum Tolerated Dose, MTD)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MTD를 결정하는 방법은 참여자를 대상으로 점점 투약량을 높여가며 이상 반응 및 약물 동력학적 검사를 통해 결정합니다.

 

임상 제2상

특정 질환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효과를 처음 관측하는 단계입니다. 건강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는 제1상과는 대상자의 구성이 다르며, 제1상을 통해 안전성이 인정되었다면 제2상은 새로 개발된 신약의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단계입니다. 그럼 바로 효과성 검증 단계로 넘어가지 않고, 사전 검증하는 이유는 다음 단계인 3상은 엄청난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있기 때문입니다. 제2상은 제3상을 넘어가기 전 근거를 기반으로 넘어가도 될만한지 판단하는 단계라 볼 수 있습니다.

 

임상 제3상

3상은 확증 임상시험 (Confirmatory Clinical Trial)입니다.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약이 효과가 있는지를 확증하는 단계입니다. 2상에서는 단지 3상으로 넘어갈 만한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단계였다면, 3상은 실제로 이 약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증하는 단계로, 3상에서 효과가 확증되면 그 약은 실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3상은 임상시험에서 가장 긴 시간과 가장 큰 비용이 소모되는 단계입니다. 일반적으로 3상에서만 수백억 원 이상의 비용이 소모됩니다.

 

임상 제4상

3상 결과 해당 약이 실제로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증되면 4상으로 넘어갑니다. 4상은 시판 후 조사 과정(Post-marketing Surveillance; PMS) 이라고도 부릅니다. 유통 과정에서 약의 효과와 부작용 등을 평가하고 개선점을 찾기 위한 과정으로 3상에서 보기 힘든 장기간 투약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임상시험 성공률
임상시험 단계별 비용 및 성공비율 - 머니투데이 '기술수출에 매달리는 K바이오, 왜?'

 

국내 임상시험 실시 현황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국내에서 수행되는 임상 연구 정보 및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임상연구정보서비스(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CRIS)를 2010년 구축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인실리코젠에서 유지관리사업 중인 본 서비스는 시스템 개선을 통해 `21년 11월 24일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제공하고 있으며, 2022년 4월 현재 7,204건의 임상 시험연구가 등록되었고, 2022년 등록 건수는 급증하여 매월 100여 건의 임상 시험연구가 새롭게 등록되고 있습니다.

 

임상연구정보서비스(CRIS)는 세계보건기구에서 지정하는 등록시스템으로 국내 모든 등록된 임상 시험연구를 세계보건기구의 국제 임상시험 등록플랫폼(ICTRP)로 매월 등록 건과 업데이트 건을 전송하여 국제적으로 공유하고 있습니다.

 

임상연구정보서비스
임상연구정보서비스(CRIS) 임상연구 등록현황 - CRIS 통계

 

 

각주

1.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 의학 연구윤리심의위원회)는 임상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대상자의 권리ㆍ안전ㆍ복지를 위하여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생명 의과학 연구의 윤리적, 과학적 측면을 심의하여, 연구계획을 승인할 수 있는 독립된 합의제 의결기구입니다. IRB 설치의 주요 목적은 모든 생명 의과학 연구(Biomedical Research)의 윤리적 과학적 타당성을 심의하여 연구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위해 연구자로부터 연구계획서, 연구대상자 설명문 및

동의서, 증례 기록서 등 관련 자료를 받아 심의 및 승인하여 적절한 연구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 및 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IRB는 연구대상자의 보호 문제와 함께 관련 법률을 준수하여 연구를 진행할 수 있게 연구자를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합니다. 연구자들에게 연구윤리지침을 준수하면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IRB의 사전승인을 받게 합니다.

2. 국제 임상시험 등록플랫폼(ICTRP)은 각국의 대표등록시스템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그 정보를 공개하는 통합검색 서비스로 임상시험 정보공유에 대한 국제적 합의에 따라 WHO에 의해 2006년 구축되었습니다. 

ICTRP Search Portal을 통해 480,000건의 임상시험 자료를 공개하고 있으며, 각 임상시험 자료는 20개 항목으로 분류되어 영어로 수집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국내에서는 임상연구정보서비스 (CRIS)가 ICTRP에 세계 11번째 한국을 대표하는 Primary Registry로 가입되었으며 국제 의학 학술지 편집인협의회(ICMJE)에서 요구하는 등록조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EDITOR

이기용

Bioinformatics System Dept. · General Manage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