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RAGE

[LabStory] 차 의과학대학교 박준호 교수님 편

여섯 번째 LabStory가 찾아왔습니다! 이번에는 차세대 연구를 선도하고 계신 젊은 교수님을 만나 뵙고 왔는데요, 그 주인공은 차 의과학대학교 차세대 단백체학 연구실을 이끄는 박준호 교수님입니다.인터뷰를 통해 단백체학의 중요성과 교수님의 연구에 대해 알아보았고, 더불어 교수님의 연구 여정과 비전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단백체학은 생체 시료 내 모든 단백질(단백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단백질의 발현, 기능,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세포 내 생물학적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단백질은 세포 내 모든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질병의 원인과 진행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정 단백질의 돌연변이, 과잉 생산 또는 부족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백질을 표적으..

2024. 10. 14.

STORAGE

[LabStory] 성균관대학교 윤환수 교수님 편

2024년에도 Lab Story는 계속됩니다! 쭈욱~  공기를 정화하고 쾌적한 환경을 위해서 식물을 키우시는 분이 많은데요, 벤자민고무나무 같은 공기 정화 식물들은 특정 유해 물질을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며 공기 중의 습도를 조절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보통 이러한 식물들을 흙에 뿌리를 내리고 파릇파릇한 잎사귀를 가지고 있죠. 산소 생산을 위해서 식물들은 광합성이라는 생물학적인 과정을 거치는데요, 광합성은 식물이 태양으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사용하여 산소를 생산하는 과정입니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방출함으로써 대기 중의 산소 농도를 높이며 유해 물질을 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육지에 있는 식물들이 광합성을 수행한다는 것은 잘 알지만, 바닷속의 조류(藻類..

2024. 7. 8.

STORAGE

[LabStory] 서울대학교 이주훈 교수님 편

랩스토리 어느덧 4번째 이야기!  올해 초에 랩스토리를 시작한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4번째 랩스토리라니~ 시간이 정말 빠르다는 것을 새삼 실감합니다. 건강을 위해서는 수면, 식단, 운동이 필수인데요, 그중에서도 음식을 섭취할 때 발효음식을 잘 챙겨 먹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음식의 발효 과정에서 증식하는 유산균이 건강에 이롭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면 장에 서식하는 비피더스균은 소화 흡수 작용을 도우며, 콩을 발효할 때 증식되는 바실러스균은 항암과 항당뇨 효과가 있습니다. 더불어 이런 유산균 등이 소화가 잘되도록 재료들을 어느 정도 분해해 놓기 때문에 우리 몸에 흡수가 더 용이하다고 합니다. 4번째 랩스토리에서는 이러한 발효음식, 발효유의 연구와 함께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선두 주자이신 서울대 이주훈 교..

2023. 10. 16.

STORAGE

[LabStory] 세종대학교 신학동 교수님 편

두둥! 3번째 LabStory를 시작합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가이자 의사인 히포크라테스는 무려 2,400여 년 전 “모든 질병은 장에서 비롯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장은 소화, 흡수, 배출 등 기본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 외에도,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셀 수 없는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생태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것을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라고 하는데, 우리 몸에 살고 있는 미생물의 숫자는 100조가 넘는다고 합니다.  이전 LabStory에서는 주로 동물 유전 현상을 연구하시는 교수님들을 인터뷰했다면 이번에는 인간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연구하는 분을 찾아갔습니다. 아침저녁으로 시원한 바람이 부는 8월 막바지의 어느 날 만난 세종대학교 신학동 교수님 이야기입니다. Introducing the Prof..

2023. 9. 4.

STORAGE

[LabStory] 중앙대학교 김준모 교수님 편

인실리코젠이 LabStory 제2편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번에는 중앙대 안성 캠퍼스의 김준모 교수님을 만나 뵙고 왔는데요. 김준모 교수님은 2013년부터 중앙대 생명공학대학 생명자원공학부 동물생명공학전공 학생들을 지도하고 계십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생물정보학을 이용한 다양한 동물유전현상의 이해, 복합유전체정보의 해석, SNP Chip 개발과 동물의 기능성 유전자 발굴, 축산분야 빅데이터를 활용한 생물정보 기술 개발 등이 있습니다. Dry Lab으로서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한다는 점이 저희 인실리코젠과 닮아 있는데요! 여러 동물의 유전체 데이터를 다루며 기능유전체 분석법을 이용하여 질병, 약리 활성, 영양, 동물복지 등 축산분야에 적용하고 계신 김준모 교수님의 BIGKIM LAB으로 가 보시죠..

2023. 5. 19.

STORAGE

[LabStory] 충북대학교 조성진 교수님 편

안녕하세요. 人Co 블로그 구독자 여러분! 거머리, 지렁이, 개불, 낙지, 장수하늘소 및 돌 멍게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무척추동물이라는 점인데요! 사실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생물은 모두 척추동물(사람, 강아지, 고양이 등)이기 때문에 무척추동물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 같지만, 무척추동물이 척추동물보다 수가 훨씬 더 많으며 전체 동물의 97%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희귀한 듯 희귀하지 않은 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연구를 펼치고 계시는 분이 있습니다. 현재는 거머리 침샘에서 분석한 전사체를 기반으로 AMP 분석, 항염증 특이 유전자 분석을 진행하고 계시는데요, 다양한 생명현상들의 분자 진화적 연결고리를 이어주는 중요한 모델시스템인 촉수담륜동물문(Lophotrochozoa)에 속하는 해양 및 담수..

2023.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