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RAGE

[Lab Story] 충북대학교 조성진 교수님 편

안녕하세요. 人Co 블로그 구독자 여러분! 거머리, 지렁이, 개불, 낙지, 장수하늘소 및 돌 멍게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무척추동물이라는 점인데요!사실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생물은 모두 척추동물(사람, 강아지, 고양이 등)이기 때문에 무척추동물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 같지만, 무척추동물이 척추동물보다 수가 훨씬 더 많으며 전체 동물의 97%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희귀한 듯 희귀하지 않은 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연구를 펼치고 계시는 분이 있습니다.현재는 거머리 침샘에서 분석한 전사체를 기반으로 AMP 분석, 항염증 특이 유전자 분석을 진행하고 계시는데요,다양한 생명현상들의 분자 진화적 연결고리를 이어주는 중요한 모델시스템인 촉수담륜동물문(Lophotrochozoa)에 속하는 해양 및 담수 무척..

2023. 3. 27.

STORAGE

알파 가문 막내아들: 알파 시리즈, 어디까지 왔는가?

서막: 알파 가문의 탄생 인류 최초로 달에 첫발을 내디딘 닐 암스트롱은 “이것은 한 인간으로서의 작은 발자국이지만, 인류 전체에게는 위대한 도약(That‘s one small step for man, one giant leap for mankind)”이라는 멋진 말을 남겼습니다. 실제로 이 작은 발자국은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을 본격화하는 계기가 되어, 우주 탐사와 관련된 각종 기술이 짧은 기간에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위대한 도약의 발자국이 달에 새겨진 지 약 47년이 지난 2016년 봄, 인류의 새로운 도약은 의외로 우주가 아닌 지구의 도심 한복판에서 이루어졌습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멋진 말을 남길 채비를 갖춘 인류의 한 일원 대신, 차가운 심장을 가진 과묵한 인공지능 기계 ‘알파고’..

2023. 3. 10.

STORAGE

산모 혈액을 이용한 비침습 산전 검사(NIPT)란?

최근 길어진 교육 기간과 여성들의 사회 진출 등의 이유로 결혼 시기가 늦어지면서, 여성의 출산 연령대가 덩달아 높아졌습니다. 만 35세를 넘으면 임신 능력이 급격히 저하되며, 이 시기 이후의 임신을 '고령 임신'이라고 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35세 이상 산모 비중은 35.4%로 매우 증가했습니다. 만 35세 이후에는 노화도나 난소와 난자의 질로 인해 임신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물론, 태아 염색체 이상이나 조산, 난산, 임신중독증과 같은 합병증 발병 위험이 커 '고위험 임신'으로 분류합니다. 따라서 산전 기형아 검사의 중요성이 매우 크며, 대한모체태아의학회는 진료지침을 통해 'NIPT 검사는 모든 임신부에게 소개되어야 하며 고위험군에서 우선하여 권유돼야 한다'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NIPT 검사란? 태반..

2023. 2. 27.

LIFE

人CoINTERNSHIP 2023 동계 프로그램 후기

2023년 1월 9일부터 시작되었던 연구실의 디지털 전환 캠페인 Season 2 - 생물정보 솔루션 활용 중심의 14기 人CoINTERNSHIP이 2월 6일, 4주간의 대장정 끝에 완료되었습니다. 중앙대, 충북대, 한양대, 경희대, 고려대, 아주대 등에서 모인 15명의 학생이 4주간 생물정보 소프트웨어 활용, NGS 분석 실습 등 여러 가지 교육을 받았습니다. 4주간의 인턴십을 성공적으로 마친 인턴분들의 소감을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찬준 (충북대학교) 인실리코젠에서 일주일간 진행된 인턴십 프로그램에서 CLC Genomics Workbench를 활용한 분석 방법에 대해 배우게 되었습니다. 분석의 원리는 기존 방법과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여러 분석 방법을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돌릴 수 있다는 점 그리고 ..

2023. 2. 8.

NEWS

[학회참가] 2023 한국유전체학회 기업 발표 세션 진행

2023. 1. 27.

STORAGE

2023년 웹 개발 트렌드

모든 것이 빠르게 변해가고 있는 요즘,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란 정말 매력적인 정보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각자 전문 분야를 가지고 역량을 심화시켜 나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와 동시에 보다 넓은 기술에 대한 이해를 갖추는 것 역시 가치 있는 일이죠. 기술 혁신의 최전선을 갈망하는 개발자 역시 이러한 트렌드에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으므로 2023년에는 웹 개발과 관련하여 어떠한 트렌드 정보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Jamstack Jamstack(Javascript, API, Markup)은 웹을 더 빠르고, 더 안전하고, 더 쉽게 확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아키텍처 설계 방식으로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많은 개발 도구와 워크플로를 기반으로 합니다. 사전 렌더링(pre-rendering) / 분리(d..

2023. 1. 16.

STORAGE

인실리코젠 프로젝트 : 남북 이산가족 찾기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인 대한민국.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 이후로 남과 북에 따로 떨어져 생사조차 알지 못하고 있는 가족과 친지들이 있는데요. 이들을 일컬어 이산가족이라고 합니다. 떨어진 가족을 만나지 못하는 그 아픔을 생각하면 매우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은 1971년 8월 12일에 대한민국의 대한적십자사가 실시한 “이산가족 찾기 운동”을 계기로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대한민국과 북한의 합의에 따라 1985년 9월, 서울과 평양에서 최초로 이산가족 고향방문단과 예술공연 교환 행사가 이루어졌습니다. 그 후,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2000년 8월 15일에 1차 이산가족 상봉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21차까지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졌습니다. 이..

2022. 12. 26.

STORAGE

비정형 유기체적 형상의 디자인 분야 활용

조형에 관한 연구는 시대 변천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며 여러 가지 형식으로 발전해 왔는데요, 이는 단순히 조형을 소비하는 각 시대 사람들의 주관적인 취향 문제가 아니라 미적 취향과 관련된 우리 사회의 다양한 대내외적 요인에 영향을 받아 현재까지도 변화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디자인 분야는 앞으로 어떠한 조형미를 갖춘 디자인을 도출할 것인지와 어떻게 형태를 구현해 낼 것인지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현재, 기술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조형 방식의 탐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오늘 블로그는 여러 형태적 특성 중 비정형(Atypical)과 유기체(Organism)라는 특성을 가지고 산업디자인 분야를 비롯한 인실리코젠의 디자인과 연관 지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정형(Atypical)이란?..

2022. 12. 12.

STORAGE

NGS 데이터 파일 형식 및 파일 형식 검증툴 소개

NGS 데이터는 처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식의 파일이 생성됩니다. 그리고 각각의 분석 과정에서 지정된 데이터 포맷의 파일만 입력 파일로 활용할 수 있고 분석 결과는 지정된 포맷의 파일이 생성됩니다. 예를 들면 위의 분석 과정 중 alignment to genome 단계에서 자주 사용되는 bwa 이라는 분석 툴은 FASTQ 형식 파일을 입력 파일로 받아서 SAM 형식의 결과 파일을 출력합니다. 이렇게 분석 단계별로 입출력 파일 형식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대용량의 NGS 데이터를 분석하다 보면 예기치 못한 오류메시지를 보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런 때 의외로 데이터 파일 포맷이 올바르지 않아 프로그램에서 인식할 수 없다는 로그를 종종 보게 됩니다. 원인은 다양합니다. 우선 연구자가 임의로 만든 파..

2022. 11. 28.

NEWS

2022 한국미생물학회에 참가하다!

인실리코젠은 10월 30일(일)부터 11월 01일(화)까지 3일간 "A Superior Solution for Microbial Genomics and Microbiome"이라는 슬로건으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국미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한국미생물학회는 미생물에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해 최첨단 미생물학 연구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연사를 초청해 새로운 주제에 대한 세션을 진행합니다. 또한 학생과 과학자들이 발표 및 포스터 세션에서 과학적 발견을 발표할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는 학회입니다. 이번 2022 한국미생물학회는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의 새로운 구성에 대한 획득 경로의 메타게노믹적 추론, 심층 인간 표현형에 기반한 맞춤형 의학, Anti-CRISPR 및 CRISPR-Cas 시..

2022. 1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