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RAGE

비전 AI를 위한 고품질 학습 데이터 수집, 소도체 등심 영상 촬영기

인공지능의 눈, 비전 AI 사람의 눈과 뇌를 대신하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 ‘비전 AI’를 아시나요? ‘비전 AI’는 컴퓨터와 시스템을 통해 이미지, 비디오 및 기타 시각적 입력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한 다음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작업을 실행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추천합니다. 최근 들어 ‘비전 AI’ 기술은 산업용뿐만 아니라 로봇, 의료, 보안 및 감시, 스포츠, 게임용 시장 등 그 적용 분야가 나날이 확대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MarketandMarkets Research Private Ltd)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비전 AI 시장은 253억 2천만 달러(약 28조 4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컴퓨터 비전과 비전 AI의 차이 앞서 말씀드린 바와..

2023. 9. 18.

STORAGE

[LabStory] 세종대학교 신학동 교수님 편

두둥! 3번째 LabStory를 시작합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가이자 의사인 히포크라테스는 무려 2,400여 년 전 “모든 질병은 장에서 비롯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장은 소화, 흡수, 배출 등 기본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 외에도,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셀 수 없는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생태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것을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라고 하는데, 우리 몸에 살고 있는 미생물의 숫자는 100조가 넘는다고 합니다.  이전 LabStory에서는 주로 동물 유전 현상을 연구하시는 교수님들을 인터뷰했다면 이번에는 인간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연구하는 분을 찾아갔습니다. 아침저녁으로 시원한 바람이 부는 8월 막바지의 어느 날 만난 세종대학교 신학동 교수님 이야기입니다. Introducing the Prof..

2023. 9. 4.

STORAGE

그 많던 꿀벌은 어디로 갔을까?

색색의 꽃들이 예쁘게 피면 함께 나비와 꿀벌도 늘어나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요. 벌의 날갯짓 소리를 들으면 온몸에 소름이 확 돋는 저는 늘 멀찍이 떨어져서 구경하는 편인데 꿀벌이 사라졌다는 뉴스를 처음 접했을 때 단순히 ‘그래 난 벌이 너무 싫어. 꿀이야 안 먹어도 그만이지!’라고만 생각했지, 그 심각성을 잘 알지 못했습니다. 어느 날 아이가 하원 길에 “엄마 벌은 꽃에 있는 꿀을 따. 그리고 꽃에 있는 꽃가루를 옮겨 줘. 그래야 열매가 나! 벌은 참 좋은 애야!” 라고 말하는데 저보다 더 낫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더불어 얼마 전 유퀴즈에서도 꿀벌 수의사 허주행씨가 출연해 화제였는데요, 허주행씨는 질병이 의심되는 꿀벌이 있는 양봉 농장을 방문해 꿀벌의 상태를 진단하고 치료한다고 하네요. 또한 이날 방송..

2023. 8. 21.

STORAGE

나만 알고 싶은 OmicsBox

`유전체 데이터는 점차 쌓여가고···쌓여가는 데이터 처리는 해야겠고···이왕 처리하는 거 효율적으로,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처리하고 싶은데···심도 있는 분석은 또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 걸까···` 이런 의문 품어보신 적 다들 있으시죠?! 있을 겁니다! 저 또한 그랬으니까요! 제 경우에는 OmicsBox라는 솔루션이 저의 이러한 의문을 해소해주었습니다. 제가 OmicsBox를 처음 접한 건 바야흐로 대학원 시절. 그 당시에는 OmicsBox로 리뉴얼 되기 전인 Blast2GO 버전이었습니다. 저는 그 당시 De Novo Transcriptome 분석을 진행했었고, BLAST 분석 이후의 후속 분석인 Functional Analysis(GO, KEGG, InterProScan)를 Blast2GO를 이용하여..

2023. 8. 9.

STORAGE

데이터로 완성되는 스마트팜

오늘날 데이터는 일상을 기록, 결정하고 계획하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수단인 동시에 제4차 산업 혁명에 대응하는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되었습니다. 의료, 주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판단, 예측 및 기획하여 여러 기술을 접목하고 있습니다. 농업도 예외일 수 없습니다. 차세대 스마트 농업을 이끌고 있는 어그테크 (농업, Agriculture + 기술, Technology) 분야에서도 데이터의 수집, 활용, 생산의 순환 구조하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해 가고 있습니다. 종자 개발 단계부터 재배, 수확, 유통, 소비에 이르기까지 스마트 농업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AI (Artificial Intelligence)와 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이 적용되고 있고, 이들의 효율성을 높이기..

2023. 7. 24.

STORAGE

더 이상 낯설지 않은 파킨슨병

人Co Culture Day 통해 ‘오토라는 남자’ 영화를 보게 되었습니다. 이 영화에 대해서 알지 못했고, 원작인 ‘오베라는 남자’도 들어보지 못했기 때문에 큰 기대 없이 영화를 보았습니다. 영화 ‘오토라는 남자’는 혼자 사는 까칠한 이웃 남자 ‘오토’가 소중한 사람을 잃은 후 모든 것을 포기하려는 순간마다 일어나는 이웃들과의 사건들로 살아나갈 이유를 찾게 되는 내용입니다. 여러 가지 사건들이 일어나지만, 그중 한 사건이 저에겐 너무도 가깝게 다가왔습니다. ‘오토’의 이웃이자 절친한 친구가 파킨슨병을 앓고 있었고, 그로 인해 아무것도 할 수 없어 큰 위기에 처해있는 상황이 있었습니다. 저에게 가깝게 다가온 포인트는 ‘파킨슨병’이었습니다. 몇 년 전, 고혈압이 있으셨던 저희 아버지께서는 몸이 더욱 안 좋..

2023. 7. 10.

NEWS

2023 한국육종학회에 참가한 인실리코젠

㈜인실리코젠은 작년에 이어 2023 한국육종학회에 참가하였습니다. 학회는 2023년 6월 28일부터 6월 30일까지 “Plant Breeding Strategy for Seed Industry Growth (종자산업 발전을 위한 작물육종 전략)”라는 주제로 제주도 라마다호텔에서 열렸는데요. 이번 학회에는 주최 측 추산 800여 명의 인원과 인실리코젠을 비롯한 약 20개 기업이 참여하여 성황리에 개최되었습니다. 진행된 세미나 중 해외 육종 전략 관련 세미나에서는 중요한 포인트를 언급해 주셨는데요, 육종은 많은 기술과 많은 전략이 존재하지만 어떤 기술을 이용하던 정확한 목적에 맞게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확한 분석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데이터는 연구 및 개발의 연속성을 위해 디지털화가 필..

2023. 7. 7.

STORAGE

잠은 죽어서 자라? 아니죠! 당신이 잠을 잘 자야 하는 4가지 이유

여러분은 보통 하루에 몇 시간을 주무시나요? OECD 통계에 따르면 사람은 하루에 보통 7~8시간의 잠을 잔다고 합니다. 즉, 우리는 인생의 약 3분의 1을 잠을 자면서 보내는데요. 어쩌다 잠을 설치거나 적게 잔 날이면, 다음 날 피로하고 생각이 둔해지는 경험을 해본 적이 있지 않으신가요? 저도 비슷한 경험을 해보았는데요. 중요한 시험을 앞두고 밤을 새워서 공부한 다음 날 오히려 시험에 집중하지 못하고 사고가 느려져서 멍한 느낌으로 시험을 쳤던 경험, 그와 반대로 수면시간에 제약 없이 맘껏 자고 일어나면 몸이 개운하고 온종일 활력이 돋았던 경험이 떠오릅니다. 전문가들은 인체의 건강을 위해 충분한 수면시간을 확보하라고 말합니다. 자는 동안 우리 몸에 어떤 일이 일어나기에 잠은 인간에게 중요한 걸까요? 잠은..

2023. 6. 19.

STORAGE

손쉽게 웹사이트 검색 엔진 최적화(SEO)하는 5가지 방법

검색 엔진 최적화-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란, 구글이나 네이버 같은 검색 엔진에서 검색 결과,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의 상위 노출도를 높이는 작업입니다. 페이지 상단에 뜰수록 유저들의 방문 확률이 높아지겠죠. 이것을 검색 엔진 최적화(SEO)라고 합니다. SEO는 디지털 마케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프론트엔드 개발 과정에서도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에요. 검색 엔진이 웹사이트를 크롤링할 때 HTML, CSS, JavaScript 등의 프론트엔드 코드를 해석해 웹페이지의 내용과 구조를 이해하고, 사이트의 검색 순위를 결정하죠. 현재 많은 개발자가 Google SEO 가이드를 참고하는데, 이는 Google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색 엔진 중 하나이며, 무료로 SEO 관련 정..

2023. 6. 5.

STORAGE

[LabStory] 중앙대학교 김준모 교수님 편

인실리코젠이 LabStory 제2편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번에는 중앙대 안성 캠퍼스의 김준모 교수님을 만나 뵙고 왔는데요. 김준모 교수님은 2013년부터 중앙대 생명공학대학 생명자원공학부 동물생명공학전공 학생들을 지도하고 계십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생물정보학을 이용한 다양한 동물유전현상의 이해, 복합유전체정보의 해석, SNP Chip 개발과 동물의 기능성 유전자 발굴, 축산분야 빅데이터를 활용한 생물정보 기술 개발 등이 있습니다. Dry Lab으로서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한다는 점이 저희 인실리코젠과 닮아 있는데요! 여러 동물의 유전체 데이터를 다루며 기능유전체 분석법을 이용하여 질병, 약리 활성, 영양, 동물복지 등 축산분야에 적용하고 계신 김준모 교수님의 BIGKIM LAB으로 가 보시죠..

2023.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