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RAGE

[LabStory] 서울대학교 이주훈 교수님 편

랩스토리 어느덧 4번째 이야기!  올해 초에 랩스토리를 시작한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4번째 랩스토리라니~ 시간이 정말 빠르다는 것을 새삼 실감합니다. 건강을 위해서는 수면, 식단, 운동이 필수인데요, 그중에서도 음식을 섭취할 때 발효음식을 잘 챙겨 먹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음식의 발효 과정에서 증식하는 유산균이 건강에 이롭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면 장에 서식하는 비피더스균은 소화 흡수 작용을 도우며, 콩을 발효할 때 증식되는 바실러스균은 항암과 항당뇨 효과가 있습니다. 더불어 이런 유산균 등이 소화가 잘되도록 재료들을 어느 정도 분해해 놓기 때문에 우리 몸에 흡수가 더 용이하다고 합니다. 4번째 랩스토리에서는 이러한 발효음식, 발효유의 연구와 함께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선두 주자이신 서울대 이주훈 교..

2023. 10. 16.

LIFE

19번째 생일을 맞이한 인실리코젠

안녕하세요. 여러분~ 생물정보 전문기업 (주)인실리코젠입니다. 10월 1일은 인실리코젠의 창립기념일입니다. 어느덧 인실리코젠이 19번째 생일을 맞이했습니다! 곧 있으면 20주년이 되는데 매우 기대가 됩니다. 😊 19주년 행사는 20주년을 맞이하기 전 쉬어가는 마음으로 다소 간소하게 치러졌습니다. 19주년 창립기념식은 2023년 인코덤 결산 및 시상, 근속상 수여식, 사장님 기념사 후 점심 식사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먼저 MD 협의회 5기로 활동 중인 5기 MD분들의 인코덤 한 해 결산을 영상으로 담아보았습니다. 인코덤 홈페이지를 리뉴얼하고 콘텐츠 작성 가이드를 재정비하는 등 인코덤 발전에 많은 심혈을 기울인 한해였습니다. 수고 많으셨어요~! 인코덤 운영진 MD 협의회 영상 다음으로는 인코덤 시상이 있었..

2023. 10. 6.

STORAGE

[LabStory] 세종대학교 신학동 교수님 편

두둥! 3번째 LabStory를 시작합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가이자 의사인 히포크라테스는 무려 2,400여 년 전 “모든 질병은 장에서 비롯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장은 소화, 흡수, 배출 등 기본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 외에도,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셀 수 없는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생태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것을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라고 하는데, 우리 몸에 살고 있는 미생물의 숫자는 100조가 넘는다고 합니다.  이전 LabStory에서는 주로 동물 유전 현상을 연구하시는 교수님들을 인터뷰했다면 이번에는 인간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연구하는 분을 찾아갔습니다. 아침저녁으로 시원한 바람이 부는 8월 막바지의 어느 날 만난 세종대학교 신학동 교수님 이야기입니다. Introducing the Prof..

2023. 9. 4.

STORAGE

[LabStory] 중앙대학교 김준모 교수님 편

인실리코젠이 LabStory 제2편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번에는 중앙대 안성 캠퍼스의 김준모 교수님을 만나 뵙고 왔는데요. 김준모 교수님은 2013년부터 중앙대 생명공학대학 생명자원공학부 동물생명공학전공 학생들을 지도하고 계십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생물정보학을 이용한 다양한 동물유전현상의 이해, 복합유전체정보의 해석, SNP Chip 개발과 동물의 기능성 유전자 발굴, 축산분야 빅데이터를 활용한 생물정보 기술 개발 등이 있습니다. Dry Lab으로서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한다는 점이 저희 인실리코젠과 닮아 있는데요! 여러 동물의 유전체 데이터를 다루며 기능유전체 분석법을 이용하여 질병, 약리 활성, 영양, 동물복지 등 축산분야에 적용하고 계신 김준모 교수님의 BIGKIM LAB으로 가 보시죠..

2023. 5. 19.

STORAGE

탈모에 대한 속설, 과연 사실일까?

한두 살씩 점점 나이를 먹음에 따라 노화에 따른 사람들의 고민도 늘어납니다. 피부 주름, 안구 질환(백내장, 노안 등….), 치아와 잇몸 질환, 탈모, 관절 등…. 많은 고민거리가 있을 것입니다. 이 많은 고민거리 중 저는 탈모에 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탈모는 노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일까요, 아니면 유전에 의한 피할 수 없는 운명일까요? 저는 20대엔 머리카락에 대해서 크게 관심이 없었지만, 출산 후 급격히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게 되었고, 그 외 주변인들에 의해 머리카락에 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 아무래도 머리카락 또는 헤어스타일이 주는 사람에 대한 인상이 확실히 다르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살아가면서 탈모에 대한 몇 가지 속설들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중에서 저는 아래와 같은 속..

2023. 5. 8.

STORAGE

"ChatGPT"가 뭐길래?!

과제도 해주고 연애 상담도 해주는 인공지능 챗봇 ‘ChatGPT’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출시 일주일 만에 100만 사용자를 돌파하면서 엄청난 파급력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ChatGPT(Chat 대화형 인공지능, Generative 생성형, Pre-trained 미리 학습된, Transformer 언어모델 알고리즘)는 사람의 대화를 시뮬레이션하도록 훈련된 자연 언어 처리 모델입니다. OpenAI에서 만든 대규모 인공지능 모델인 ‘GPT-3.5’를 기반으로 하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로, 우리들의 생활 속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고 접할 수 있는 AI 챗봇의 일종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간단한 회원가입 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도 회원가입 후 ChatGPT-3.5 에게 자신을 소개해달라고 대화를..

2023. 4. 10.

NEWS

[Campaign] 연구실의 디지털 전환 캠페인 Season 3

2023. 3. 31.

STORAGE

[LabStory] 충북대학교 조성진 교수님 편

안녕하세요. 人Co 블로그 구독자 여러분! 거머리, 지렁이, 개불, 낙지, 장수하늘소 및 돌 멍게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무척추동물이라는 점인데요! 사실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생물은 모두 척추동물(사람, 강아지, 고양이 등)이기 때문에 무척추동물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 같지만, 무척추동물이 척추동물보다 수가 훨씬 더 많으며 전체 동물의 97%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희귀한 듯 희귀하지 않은 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연구를 펼치고 계시는 분이 있습니다. 현재는 거머리 침샘에서 분석한 전사체를 기반으로 AMP 분석, 항염증 특이 유전자 분석을 진행하고 계시는데요, 다양한 생명현상들의 분자 진화적 연결고리를 이어주는 중요한 모델시스템인 촉수담륜동물문(Lophotrochozoa)에 속하는 해양 및 담수..

2023. 3. 27.